강박관념 [强迫觀念, compulsive idea]
사소한 생각이지만 뇌리에서 떠나지 않아, 그것을 떨쳐버리려고 하면 할수록 강하게 일어나 자기로서는 어쩔 수 없는 상태.
노이로제(신경증) [神經症, neurosis]
신경증은 위기상황에 있어서의 일종의 인격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분석학자인 S.프로이트(1856∼1939)는 위기적 상황에 의해 야기되며, 또는 위기의 도래를 예고하는 불안을 회피하려고 하는 자아의 방위반응이라고 생각했다.
히스테리 [Hysterie]
정신적 ·심리적 갈등 때문에 일어나는 정신신경증.
히스테리성 증세는 옛날 히포크라테스와 그 학파가 기재하였고, 여성에게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자궁에 병인이 있다고 생각된 데서 자궁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hystera를 따서 이름이 붙었다.
히스테리라는 말이 정신병 또는 이상성격의 한 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자기중심적으로, 항상 남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을 바라고, 오기가 있고, 감정의 기복이 심한 성격, 또는 현시성(顯示性)인 병적 성격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신경증과 정신병의 차이
신경증에는 입원을 요할 만큼 심한 일이 드문 불안, 개인적 불행감 및 부적응적 행동을 포함했다. 그 사람은 비록 충분한 능력을 발휘하지는 못하더라도, 사회에서 통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었다. 정신병은 더 심한 정신장애들을 포함했다. 그 사람의 행동과 사고과정들은 매우 혼란되어 있어서, 그 사람은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했고, 일상 생활의 요구들에 대처할 수 없었고, 대게는 입원되어야만 했다.
[심리학개론中]
-------------------------------
나한테는 강박관념과 노이로제와 히스테리라는 증상이 있다.
심리학개론에서 말했듯이 사회에서 통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으니 정신병은 아닌게 다행이다.
하지만 난 내가 비정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난 지극히 정상이고 나 이외의 다른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신경증적 증세들이 비정상적으로 보일 뿐이다.
내 부모님, 제일 친한 친구들 역시 내 기준으로 봤을때 비정상적인 부분이 있는것이다.
1. 난 미쳤다.
2. 세상이 미쳤다.
둘중 한개임에는 분명한데 어느쪽인지 확실하지는 않다.
아침부터 두서 없이 이렇게 주절대는걸 봐서는 아무래도 내가 미친게 맞는거 같은데..